리눅스에는 여러 가지 텍스트 편집기가 있습니다.
gedit, vi, nano 등의 편집기 중 이번 포스팅에서는 vi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vi
vi 는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널리 사용되는 텍스트 편집기입니다.
명령줄 기반 텍스트 편집기이며 효율적이고 강력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명령어와 모드가 특징입니다.
vi 모드
vi에는 세 가지의 주요 모두가 있습니다.
- 명령 모드: 기본 모드로, 모든 키 입력이 명령으로 해석
- 압력 모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드
- 명령 행 모드 : 파일을 저장하거나 종료하는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드
이렇게 3가지로 나누어집니다.
vi 모드 전환 방법
모드 전환 방법으로는
- 명령 모드에서 입력모드로 전환
' i ' : 현재 커서 위치 앞에 텍스트 삽입
' a ' : 현재 커서 위치 뒤에 텍스트 삽입
' o ' : 현재 줄 아래에 새로운 줄 삽입 - 입력 모드에서 명령모드로 전환
' ESC ' : 키를 누릅니다. - 명령 모드에서 명령 행 모드로 전환:
' : ' : 키를 누릅니다.
vi 명령어
이번에는 vi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i실습
실습을 통해서 vi에디터를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test.txt'라는 파일을 생성해 줍니다. 그 후
vi test.txt
명령어 통해서 'test.txt' 텍스트 파일을 열어 볼 수 있습니다.
텍스트 파일이 비어있는 것을 확인 가능하고 기본적으로 명령 모드로 들어 가집니다. 그래서 현재는 텍스트파일에 입력이 불가능합니다. 위에 있던 명령어인 ' i '를 입력하고 모드를 전환해 줍니다.
모드 전환 이후 간단한 텍스트를 적어주고 'ESC'를 눌러서 다시 모드전환을 해주겠습니다.
그 후 ' : ' 눌러 명령 행 모드로 전환해 줍니다. 그리고 'wq' 저장 후 종료 명령어를 입력 vi 에디터를 종료하겠습니다.
명령어를 통해서 'test.txt' 파일을 확인해 보면 작성했던 텍스트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가능합니다.
vi 에디터는 이미 존재하는 파일에만 사용 가능한 것이 아니라 vi에디터를 통해서 텍스트파일을 생성 또한 가능합니다.
vi test2.txt
명령어를 통해서 'test2.txt'라는 파일을 생성하면서 vi에디터가 실행된 것을 확인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vi에디터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았고 리눅스환경에서
자주 사용하는 에디터이니 이후 추가 포스팅 내용이 생길 시 이어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vi에디터에 관한 이번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그룹관리 (0) | 2024.08.08 |
---|---|
리눅스-사용자 관리 (0) | 2024.08.08 |
Linux 명령어 2 (0) | 2024.06.20 |
Linux 명령어 (1) | 2024.05.22 |
Linux 고정 ip 설정하기 (0) | 2024.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