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 Linux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FTP서버의 설정과 관리 등에 대해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1. 설정 파일vsFTP 서버를 구성할 때 메인 설정파일은 /etc/vsftpd/vsftpd.conf 파일입니다.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설정이 되어있지만 설정을 변경하거나 보안을 강화하거나 하는 등 사용합니다.해당 파일을 열어서 확인해 보면은 위처럼 작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 가능합니다. 간단하게 내용을 살펴보면anonymous_enable=NO # 익명 사용자(anonymous)의 FTP 접속을 금지합니다.local_enable=YES # 시스템의 로컬 사용자 계정으로 FTP 접속을 허용합니다.write_enable=YES # FTP를 통해 파일..
· Linux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웹서버관리에 대한 포스팅을 이어서 해보겠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httpd설정을 위주로 하겠습니다. 1.http설정http와 관련된 주요 파일 중 가장 중요한 설정 파일은/etc/httpd/conf/httpd.conf 파일이라고 합니다.위의 파일은 웹서버의 동작 방식 및 홈 디렉터리 경로, 모듈 관련 설정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1. ServerRoot해당 부분은 웹 서버의 기본 디렉토리 위치를 지정합니다.기본값은 /etc/httpd 입니다.ServerRoot로 지정된 디렉토리에는 설정, 모듈, 로그와 관련된 디렉토리를 담고 있습니다.일부 디렉토리는 ServerRoot 디렉토리에 원본이 존재하며 로그, 모듈 웹서비스 실행 중 생성되는 파일을 담고 있는디렉토리들은..
· Linux
이번 포스팅에서는 VMware에 Apche웹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1. 웹서버란?웹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 소프트웨어입니다.HTTP/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적 콘텐츠(HTML, CSS, JavaScript)와 동적 콘텐츠(PHP, Python 등)를 클라이언트에 전달합니다.대표적인 웹서버 소프트웨어로는 Apache, Nginx 등이 있습니다.그중에 저는 이번 포스팅에서 Apache를 통해서 웹서버를 구축하도록 하겠습니다. 1-1.Apache 웹서버Apache 웹서버(Apache HTTP Server)는 오픈소스 기반의 가장 널리 사용되는 웹서버 중 하나입니다. 안정성과 확장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모듈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
· Linux
이번 포스팅에서는 Fdisk에 관련하여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Fdisk란?fdisk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디스크 파티션을 관리한느 명령어입니다.디스크 파티션을 생성, 삭제, 변경하는 데 사용되며 주로 HDD 또는 SSD 같은물리적 파티션 테이블을 관리하는데 활용합니다. fdisk 기본 사용 fdisk 실습을 위해서 먼저 vmware에 새로운 디스크를 추가했습니다.추가 이후에 실행해 줍니다저는 부팅순서가 문제가 생겨서 부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해결방법으로는 bios모드에 들어가서 해결이 가능합니다Bios모드는 부팅 중에 F2를 연타해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 후 boot항목으로 이동해서부팅순서를 기존디스크가 먼저 부팅되도록 설정해 주는 것으로 해결 가능합니다. 이제 다시 f..
· Linux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예약 작업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cron'cron'은 리눅에서 특정 시간에 반복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예약하는 데 사용되는 서비스입니다.'cron' 작업은 주기적인 작업(매일, 매주, 매월)을 자동화 하는데 유용합니다.예시) 시스템 백업, 로그 파일 정리, 정기적인 스크립트 실행 등 crontab 구성'cron'작업은 'crontab' 파일에 정의 됩니다.'crontab'파일은 /etc디렉터리 안에 존재합니다.vi편집기를 통해서 열어 보았을 때 위와 같은 모습으로 확인가능합니다.* * * * * user-name command to be executed각 필드는 마다 의미를 가지는데 차례대로첫 번째 필드 : 분 (0 ~ 59)두 번째..
· Linux
리눅스에서 시스템을 운영하거나 관리할 때, "데몬(Daemon)"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데몬은 백그라운드에서 조용히 실행되며, 시스템의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몬이 무엇인지 그리고 CentOS에서 데몬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데몬 (Daemon) 이란?데몬(Daemon)은 유닉스 및 리눅스 환경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입니다. 데몬은 사용자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지 않으며, 시스템이 시작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고, 시스템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 실행됩니다. 일반적으로 데몬의 이름은 d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httpd : Apache 웹 서버 데몬으로, 웹 서버 기능을 제공sshd : SSH서버 데몬으로, 원격..
· Linux
지난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의 소유권과 허가권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이번에는 파일 생성 시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권한을 관리하는 umask와 특수 권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umask는 기본 권한 설정을 조정하는 중요한 도구이며, 특수 권한은 추가적인 보안과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umask란?umask는 "User file creation MASK"의 약자입니다.리눅스에서 새로 생성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기본 권한을 제한하는 데 사용됩니다. 즉,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생성될 때 기본적으로 어떤 권한이 부여될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본 파일 및 디렉터리 권한리눅스에서 새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생성될 때, 기본 권한은 다음과 같습니다.파일: 기본적으로 666 (rw-rw-rw-) 권한이 부여됩니다. 디..
· Linux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과 디렉터리의 소유권 및 허가권(권한)은 시스템 보안과 관리를 중요한 요소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인 소유권과 권한 변경 명령어인 chown과 chmod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ls -l위의 명령어를 통해서 파일과 디렉토리의 사용자와 그룹을 확인가능하고 다양한 다른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drwxr-xr-x. 2 root root 6 5월 20 19:03 다운로드위의 다운로드 디렉터리의 정보를 해석해 보자면가장 먼저 앞에 있는 d의 경우는 디렉터리를 의미합니다.( d:디렉터리,   -:일반파일을 뜻함 ,   c : 장치파일     l:링크 파일)그 뒤로 rwx는 각각 r은 읽기, w는 쓰기, x는 실행권한을 의미합니다. root root는 각각 소유자 소유그룹을 의미합..
YBban
'Linux'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