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숫자열과 문자열의 다양한 기능에 대해서 추가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대소문자 바꾸기 : upper() / lower()upper() 함수의 경우는 소문자를 대문자로, lower() 함수는 대문자를 소문자로 변경해 줍니다.a = "Hello Python Programming...!"a.upper()위 변수 a를 설정하고 함수를 적용하고print() 함수를 통해서 출력하게 되면위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a = "Hello Python Programming...!"b = a.lower()print(b)반대로 lower() 함수를 적용한다면 알파벳이 모두 소문자로 변경된 것을 확인가능합니다.여기서 하나 중요한 부분은 두 함수를 사용해도 절대로 원본은 변경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
이번 포스팅에서는 숫자열과 문자열의 다양한 기능들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자열의 format()함수format() 함수는 문자열이 가지고 있는 함수로 {}를 포함한 문자열 뒤에 마침표(.)를 찍고format()를 같이 사용해야 합니다. "{}".format(10)"{},{},{}".format(10, 20, 30)위처럼 코드를 작성 시 {}의 문자열 안에 함수괄호 안에 매개변수가 차례대로 대치되면서 숫자가 문자열이 되어 들어갑니다.주의) 중괄호의 개수와 format() 함수 안에 매개변수의 개수는 반드시 같아야 합니다.위처럼 {}를 문자열 앞에 두거나 사이에 두거나 숫자 외에 문자열 또한 사용가능합니다.format() 함수의 기능정수 출력의 다양한 형태 출령 할 정수에 기호를 넣어주거나,..
이번 포스팅은 이전 변수 포스팅에 이어서 input()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파이썬은 명령 프롬포트에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input() 함수를 사용합니다.input() 함수로 사용자 입력받기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는 다음 코드를 입력합니다.이때, input 함수 괄호 안에 입력한 내용을 프롬포트 문자열이라 합니다input("인사말을 입력하세요")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문자열이 뜨고 프로그램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기가 됩니다.이렇게 프로그램이 실행도중 잠시 멈추는 것을 블록이라 합니다.input() 함수가 사용자에게 자료입력을 요구하면서 코드 진행을 블록하고 있는 것입니다.이처럼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은 input() 함수의 결과로 나옵니다.이 값은 위처럼 다른 변수에 대..
이번 포스팅에서는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변수란?변수는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식별자입니다.예를 들어서 𝝅 가 원주율3.141592....로 정의하는 것과 같습니다.파이썬에서는 pi라는 이름의 저장공간을 만든 후, 3.141592... 값을 저장하고 필요할 때 pi를 통해서 호출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이때 pi를 '변수'라고 합니다.변수 실습실제로 파이썬을 통해서 예시로 말했던 변수를 지정해 보겠습니다.pi=3.141592 변수=값'='기호를 사용하여 변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변수 활용이러한 변수를 활용하는 방법은 3가지 있습니다.1.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변수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에서 확인해 보면 pi를 사용하겠다고 선언하는 것을 말합니다. 2.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방법변수에 값..
이번 포스팅에서는 숫자와 관련된 내용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그전에 먼저 파이썬에서는 숫자를 소수점이 없는 숫자(integer)와 소수점이 있는 숫자(floating point)로구분하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숫자의 종류숫자를 만들려면 간단하게 숫자를 입력하면 됩니다.위처럼 코드를 작성하면 숫자를 출력가능합니다.앞에서 말했던 거처럼 숫자의 타입을 알기 위해서는 type() 함수를 사용해서 출력 가능합니다.이렇게 확인해 보면 275는 정수를 의미하는 int12.758은 실수(부동소수점)를 의미하는 float으로 표시가 됩니다.참고로 0은 정수 0.0은 실수로 표기됩니다. 기억해야 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언어에서는 두 자료형을 구분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입니다.파이썬에서는 대부분 자료형을 구분할 ..
저번 포스팅에서 이어서 추가적인 부분을 이어서 작성하겠습니다.IndexError(index out of range) 예외프로그래밍을 할 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예외 중하나입니다.주요 예외라고 해서 포스팅을 작성하겠습니다. IndexError 예외는 리스트/문자열의 수를 넘는 요소/글자를 선택할 때 발생합니다.아직 리스트에 대해서는 작성하지 않았으니 문자열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print("안녕하세요"[10])라는 코드를 작성해서 실행한다면5글자인데 10번째 문자에 접근하고 있습니다.즉 문자열에 없는 문자를 선택하고 있으므로 IndexError 예외 오류가 발생합니다.코드를 작성하다가 해당 오류가 발생한다면리스트/문자열의 수를 넘는 부분을 선택했다는 것을 인지하고 코드를 수정해야 합니다.후에 리스트에 대..
이번 포스팅은 문자열에 연사자를 적용해 보겠습니다.수학시간에 배웠던 거처럼 문자열에도 연산자를 적용가능합니다.이러한 연산자는 특정한 자료의 형태에 종속이 됩니다.각각의 자료에는 적용 가능한 연산자가 따로 있습니다.숫자 : +, -, /, * 적용가능,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적용 불가문자열 :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적용가능문자열 연결 연산자 : +문자열에는 + 연산자로 문자열을 연결 가능합니다."문자열" + "문자열"+기호를 사용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문자열에 더하기처럼 사용가능합니다.print ("안녕"+"하세요")print ("안녕하세요"+"!")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해서 사용해 보면 좀 더 이해하기 쉽습니다.위처럼 두 문자열을 연결하여 새로운 문자열을 생성합니다.그렇다면 이번에는print (..
이번 포스팅은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자료형과 문자열에 대해서 계속해서 알아보겠습니다.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로 문자열 만들기문자열은 문자들을 큰따옴표(")로 감싸서 만듭니다.이전에 print() 함수를 이용하면서 사용해 보았으니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큰따옴표 사용하기print("안녕하세요")#작은따옴표 사용하기print('안녕하세요')실행결과를 확인해 보면 둘 다 같은 결과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가능합니다. 문자열 내부에 따옴표 사용하기같은 결과를 보여주는 따옴표를 왜 따로 나누어서 사용하는지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예를 들어서 "안녕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라는 문자열을 만든다고 했을 때print(""안녕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라고 작성한다면 코드가 아예 실행조차 되지 않는구문 오류가 발생합니다.(구문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