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네트워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트워크 장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네트워크 장비란?네트워크 장비란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장비들을 의미합니다. 이 장비들은 연결된 장비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네트워크 장비를 구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가장 기본적인 기준은 '프로세서 유무'입니다.프로세서가 있는 장비: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할 수 있으며, RAM과 ROM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학습이 가능합니다.프로세서가 없는 장비: 단순한 신호 전달만 수행하며, 학습 기능이 없습니다. 2. 데이터 전송방식데이터의 전송방식은 학습의 유무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프로세서의 유무는 곧 전송방식의 차이이기도 합니다.전송방식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자면 크게 3가지로 분..
· 네트워크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OSI7 계층 그중 하위 4 계층에 대한 설명을 이어서 하겠습니다.하위 4 계층OSI7 레이어의 하위 4개의 계층은 물리적인 전선을 관통하고, 네트워크 장치들을 통화하고,원하는 엔드포인트에 전달되는 방식, 데이터를 다른 측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보여줍니다. 해당 계층들부터는 사용자가 Data Capture를 이용한 정보 확인은 가능하지만, 거의 대부분 Background작업으로 진행되어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는 특징을 가집니다. 그리고 상위 계층에서 형성된 내용을 Data라고 한다면 하위 4 계층은 생성된 데이터에 헤더(Header)가 붙으면서 캡슐화가 됩니다. 4 계층 트랜스 포트 계층 (Transport Layer)데이터의 신뢰성(TCP) 혹은 비 신뢰성..
· 네트워크
이번 포스팅부터는 네트워크 기초에 관한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먼저 네트워크가 무엇인지부터 기초적인 개념부터 차근차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1. 네트워크(Netork)란?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여러 장치(컴퓨터, 서버, 스마트폰 등)를 연결해 놓은 구조입니다.우리가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파일을 주고받는 것 모두 네트워크를 통해서 가능합니다.네트워크의 기본적인 목적은 서로 다른 장치들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습니다.1-1 네트워크의 종류네트워크의 종류는 보통 규모의 크기로 구분이 가능합니다.LAN (Local Area Network): 집, 회사 등 작은 규모를 뜻합니다.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 단위 네트워크 ex - 시청..
· Linux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FTP서버의 설정과 관리 등에 대해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1. 설정 파일vsFTP 서버를 구성할 때 메인 설정파일은 /etc/vsftpd/vsftpd.conf 파일입니다.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설정이 되어있지만 설정을 변경하거나 보안을 강화하거나 하는 등 사용합니다.해당 파일을 열어서 확인해 보면은 위처럼 작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 가능합니다. 간단하게 내용을 살펴보면anonymous_enable=NO # 익명 사용자(anonymous)의 FTP 접속을 금지합니다.local_enable=YES # 시스템의 로컬 사용자 계정으로 FTP 접속을 허용합니다.write_enable=YES # FTP를 통해 파일..
· Linux
이번 포스팅에서는 FTP서버의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1. FTP서버란?FTP는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서, 컴퓨터 간에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1970년대부터 사용된 오래된 프로토콜이지만, 현재까지도 다양한 시스템에서 파일 전송을 위해 사용합니다.주요 목적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을 업로드/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FTP서버는 F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파일을 저장하거나 제공하는 서버입니다.서버를 구축할 경우여러 사용자가 파일을 공유중앙 저장소로 활용백업 시스템, 웹사이트 파일 관리보통 위 와 같은 경우로 사용되고, 운영체제마다 FTP 서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2. FTP특징FT..
· Linux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웹서버관리에 대한 포스팅을 이어서 해보겠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httpd설정을 위주로 하겠습니다. 1.http설정http와 관련된 주요 파일 중 가장 중요한 설정 파일은/etc/httpd/conf/httpd.conf 파일이라고 합니다.위의 파일은 웹서버의 동작 방식 및 홈 디렉터리 경로, 모듈 관련 설정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1. ServerRoot해당 부분은 웹 서버의 기본 디렉토리 위치를 지정합니다.기본값은 /etc/httpd 입니다.ServerRoot로 지정된 디렉토리에는 설정, 모듈, 로그와 관련된 디렉토리를 담고 있습니다.일부 디렉토리는 ServerRoot 디렉토리에 원본이 존재하며 로그, 모듈 웹서비스 실행 중 생성되는 파일을 담고 있는디렉토리들은..
· Linux
이번 포스팅에서는 VMware에 Apche웹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1. 웹서버란?웹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 소프트웨어입니다.HTTP/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적 콘텐츠(HTML, CSS, JavaScript)와 동적 콘텐츠(PHP, Python 등)를 클라이언트에 전달합니다.대표적인 웹서버 소프트웨어로는 Apache, Nginx 등이 있습니다.그중에 저는 이번 포스팅에서 Apache를 통해서 웹서버를 구축하도록 하겠습니다. 1-1.Apache 웹서버Apache 웹서버(Apache HTTP Server)는 오픈소스 기반의 가장 널리 사용되는 웹서버 중 하나입니다. 안정성과 확장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모듈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
· Linux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리아 DB서버 관리 마지막으로 백업관련하여 포스팅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1. 백업의 종류백업의 종류로는 물리적 백업과 논리적 백업 두 종류가 존재합니다.물리적 백업: 파일 전체를 다른 공간으로 복사하는 방법논리적 백업: 파일 형태로 만들어 백업하는 방법2. 물리적 백업설치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담고 있는 파일(/etc/my.conf 파일의 datadir값)과 설정 파일을 백업하는 방법입니다.파일자체를 백업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지만, 운영체제 버전, 데이터베이스 버전, 하드웨어 사양 등에 민감합니다.만약 위에 말했던 부분들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복원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etc/my.cnf.d/mariadb-server.cnf의 파일을 확인해 보면 datadir의 ..
YBban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