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DB

· Linux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리아 DB서버 관리 마지막으로 백업관련하여 포스팅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1. 백업의 종류백업의 종류로는 물리적 백업과 논리적 백업 두 종류가 존재합니다.물리적 백업: 파일 전체를 다른 공간으로 복사하는 방법논리적 백업: 파일 형태로 만들어 백업하는 방법2. 물리적 백업설치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담고 있는 파일(/etc/my.conf 파일의 datadir값)과 설정 파일을 백업하는 방법입니다.파일자체를 백업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지만, 운영체제 버전, 데이터베이스 버전, 하드웨어 사양 등에 민감합니다.만약 위에 말했던 부분들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복원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etc/my.cnf.d/mariadb-server.cnf의 파일을 확인해 보면 datadir의 ..
· Linux
저번포스팅에서는 mariaDB에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생성, 수정, 삭제 등의 관리의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DB에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조회, 삽입, 수정, 삭제등 데이터 조작과 권한에 관한 포스팅을 이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1. 데이터 조회 (SELECT)SELECT는 테이블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SELECT 필드이름1, 필드이름2, ... FROM 테이블이름위와 같은 방식으로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필드 이름에는 ' * ' 도 사용가능합니다.(* = 모든 필드를 의미합니다.)특정 필드가 아니고 모든 필드를 지정하고 싶으면 ' * '를 사용하면 됩니다. 1-1. 조건(WHERE)WHERE는 조건절로 데이터의 조건을 비교하여 조건에 만족하는 ..
· Linux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부터 VMware를 통해서 다양한 서버를 구축해 보겠습니다.먼저 구축해 볼 서버는 DB서버 그중에서 MariaDB를 통해서 구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1. mariaDB mariaDB는 MySQL에서 파생된 오픈소스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입니다.MySQL과 높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성능과 보안이 강화된 데이터 베이스입니다.현재가 제가 실습용으로 사용하는 CentOS 9에서 기본적으로 MySQL 대신 MariaDB가 제공된다 합니다.2. 설치 과정위에서 설명했던 대로 CentOS 9에서는  MariaDB가 제공된다고 합니다.그래서 특별히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거나 하는 일 없이 간단한 명령어를 통해서 설치를 하겠습니다.sudo yum install mariadb-server.x..
YBban
'마리아DB'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