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예약 작업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cron'cron'은 리눅에서 특정 시간에 반복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예약하는 데 사용되는 서비스입니다.'cron' 작업은 주기적인 작업(매일, 매주, 매월)을 자동화 하는데 유용합니다.예시) 시스템 백업, 로그 파일 정리, 정기적인 스크립트 실행 등 crontab 구성'cron'작업은 'crontab' 파일에 정의 됩니다.'crontab'파일은 /etc디렉터리 안에 존재합니다.vi편집기를 통해서 열어 보았을 때 위와 같은 모습으로 확인가능합니다.* * * * * user-name command to be executed각 필드는 마다 의미를 가지는데 차례대로첫 번째 필드 : 분 (0 ~ 59)두 번째..
저번포스트에 이어서 리눅스 명령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vmv [옵션] 대상이 명령어는 'move'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보통 위와 같은 구조로 사용되고 주요 옵션으로는 -i 파일이 이미 존재할경우 덮어쓰기전에 확인 요청-f 강제로 덮어쓰기 수행-n 파일이 이미 존재할경우 덮어쓰지 않음-v 이동 도는 이름 변경되는 파일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출력등이 있고 파일 이름을 변경할 때도 사용가능합니다.홈 디렉터리 안에 my, my2라는 디렉터리 두 개와 my디렉터리 안에 test.txt라는 이름의 파일을 만들었습니다.명령어를 통해서 my디렉터리 안에 test.txt 파일을 my2디렉터리로 옮기는 데 성공했습니다.그리고 mv명령어 다른 사용방법인 ..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의 구조를 알아보고명령어를 직접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명령어 구조명령어 [옵션] [인수] 리눅스의 명령어는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명령어(command):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어입니다.ex) 파일을 목록으로 표시하는 ls, 디렉터리를 변경하는 cd옵션(options): 명령어의 동작을 변경하거나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가능하게 해 줍니다. 보통 (-) 혹은 (--)으로 시작합니다. ex) -l은 ls 명령어에서 목록을 자세히 보여주는 옵션인수(arguments): 명령어가 동작할 대상입니다. ex) ls 명령어에 디렉터리 이름을 전달하여 특정 디렉토리의 파일을 목록으로 표시ls -l /home/userls - (명령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