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FTP서버의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1. FTP서버란?FTP는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서, 컴퓨터 간에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1970년대부터 사용된 오래된 프로토콜이지만, 현재까지도 다양한 시스템에서 파일 전송을 위해 사용합니다.주요 목적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을 업로드/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FTP서버는 F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파일을 저장하거나 제공하는 서버입니다.서버를 구축할 경우여러 사용자가 파일을 공유중앙 저장소로 활용백업 시스템, 웹사이트 파일 관리보통 위 와 같은 경우로 사용되고, 운영체제마다 FTP 서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2. FTP특징FT..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웹서버관리에 대한 포스팅을 이어서 해보겠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httpd설정을 위주로 하겠습니다. 1.http설정http와 관련된 주요 파일 중 가장 중요한 설정 파일은/etc/httpd/conf/httpd.conf 파일이라고 합니다.위의 파일은 웹서버의 동작 방식 및 홈 디렉터리 경로, 모듈 관련 설정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1. ServerRoot해당 부분은 웹 서버의 기본 디렉토리 위치를 지정합니다.기본값은 /etc/httpd 입니다.ServerRoot로 지정된 디렉토리에는 설정, 모듈, 로그와 관련된 디렉토리를 담고 있습니다.일부 디렉토리는 ServerRoot 디렉토리에 원본이 존재하며 로그, 모듈 웹서비스 실행 중 생성되는 파일을 담고 있는디렉토리들은..
이번 포스팅에서는 VMware에 Apche웹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1. 웹서버란?웹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 소프트웨어입니다.HTTP/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적 콘텐츠(HTML, CSS, JavaScript)와 동적 콘텐츠(PHP, Python 등)를 클라이언트에 전달합니다.대표적인 웹서버 소프트웨어로는 Apache, Nginx 등이 있습니다.그중에 저는 이번 포스팅에서 Apache를 통해서 웹서버를 구축하도록 하겠습니다. 1-1.Apache 웹서버Apache 웹서버(Apache HTTP Server)는 오픈소스 기반의 가장 널리 사용되는 웹서버 중 하나입니다. 안정성과 확장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모듈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리아 DB서버 관리 마지막으로 백업관련하여 포스팅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1. 백업의 종류백업의 종류로는 물리적 백업과 논리적 백업 두 종류가 존재합니다.물리적 백업: 파일 전체를 다른 공간으로 복사하는 방법논리적 백업: 파일 형태로 만들어 백업하는 방법2. 물리적 백업설치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담고 있는 파일(/etc/my.conf 파일의 datadir값)과 설정 파일을 백업하는 방법입니다.파일자체를 백업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지만, 운영체제 버전, 데이터베이스 버전, 하드웨어 사양 등에 민감합니다.만약 위에 말했던 부분들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복원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etc/my.cnf.d/mariadb-server.cnf의 파일을 확인해 보면 datadir의 ..
저번포스팅에서는 mariaDB에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생성, 수정, 삭제 등의 관리의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DB에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조회, 삽입, 수정, 삭제등 데이터 조작과 권한에 관한 포스팅을 이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1. 데이터 조회 (SELECT)SELECT는 테이블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SELECT 필드이름1, 필드이름2, ... FROM 테이블이름위와 같은 방식으로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필드 이름에는 ' * ' 도 사용가능합니다.(* = 모든 필드를 의미합니다.)특정 필드가 아니고 모든 필드를 지정하고 싶으면 ' * '를 사용하면 됩니다. 1-1. 조건(WHERE)WHERE는 조건절로 데이터의 조건을 비교하여 조건에 만족하는 ..
이번 포스팅은 저번 MariaDB 포스팅에 이어서 DB관련 운영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1.MariaDB 설정파일먼저 MariaDB의 설정파일이 위치와 파일의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etc/my.cnf.d/mariadb-server.cnf해당 파일이 MariaDB의 설정 파일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도 설정을 바꾼 적이 있습니다. 파일의 내용을 요약하면 데이터 저장 위치, 소켓 파일, 로그 파일 경로 등을 정의하고,네트워크설정등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외부에서 접속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bind-address= 부분을 0.0.0.0으로 설정하여 모든 네트워크에서 접속을 허용하였지만 해당 부분을 수정하여특정 ip만 접속하도록 설정가능합니다.2.CREATE먼저 DB를 관리하기 위해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부터 VMware를 통해서 다양한 서버를 구축해 보겠습니다.먼저 구축해 볼 서버는 DB서버 그중에서 MariaDB를 통해서 구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1. mariaDB mariaDB는 MySQL에서 파생된 오픈소스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입니다.MySQL과 높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성능과 보안이 강화된 데이터 베이스입니다.현재가 제가 실습용으로 사용하는 CentOS 9에서 기본적으로 MySQL 대신 MariaDB가 제공된다 합니다.2. 설치 과정위에서 설명했던 대로 CentOS 9에서는 MariaDB가 제공된다고 합니다.그래서 특별히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거나 하는 일 없이 간단한 명령어를 통해서 설치를 하겠습니다.sudo yum install mariadb-server.x..
이번 포스팅에서는 Fdisk에 관련하여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Fdisk란?fdisk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디스크 파티션을 관리한느 명령어입니다.디스크 파티션을 생성, 삭제, 변경하는 데 사용되며 주로 HDD 또는 SSD 같은물리적 파티션 테이블을 관리하는데 활용합니다. fdisk 기본 사용 fdisk 실습을 위해서 먼저 vmware에 새로운 디스크를 추가했습니다.추가 이후에 실행해 줍니다저는 부팅순서가 문제가 생겨서 부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해결방법으로는 bios모드에 들어가서 해결이 가능합니다Bios모드는 부팅 중에 F2를 연타해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 후 boot항목으로 이동해서부팅순서를 기존디스크가 먼저 부팅되도록 설정해 주는 것으로 해결 가능합니다. 이제 다시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