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시스템을 운영하거나 관리할 때, "데몬(Daemon)"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데몬은 백그라운드에서 조용히 실행되며, 시스템의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몬이 무엇인지 그리고 CentOS에서 데몬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데몬 (Daemon) 이란?
데몬(Daemon)은 유닉스 및 리눅스 환경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입니다.
데몬은 사용자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지 않으며, 시스템이 시작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고, 시스템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 실행됩니다. 일반적으로 데몬의 이름은 d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httpd : Apache 웹 서버 데몬으로, 웹 서버 기능을 제공
- sshd : SSH서버 데몬으로, 원격 접속을 관리
- crond : cron 작업을 처리하는 데몬, 예약된 작업을 실행
리눅스에서 데몬 설치 및 관리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다양한 패키지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데몬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CentOS나 RHEL 같은 배포판에서는 주로 dnf, yum, rpm을 사용합니다.
- dnf : dnf는 yum의 차세대 버전으로, Fedora와 RHEL 계열 배포판에서 기본 패키지 관리 도구로 사용됩니다. YUM의 단점을 보완하고 성능을 향상한 패키지 관리 시스템입니다.
최신 배포판에서 효율적이고 빠른 패키지 관리 경우. - yum : yum은 CentOS, RHEL 등에서 오랫동안 사용된 패키지 관리 도구로, rpm 패키지의 의존성을 자동으로 해결하고 설치, 업데이트, 삭제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기존 yum에 익숙하거나, 특정 플러그인이 필요한 경우 - rpm : rpm은 Red Hat 계열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포맷 및 패키지 관리 도구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rpm 자체는 의존성 관리를 하지 않으며, 수동으로 패키지를 설치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특정 패키지를 수동으로 설치하거나, 의존성 관리를 직접 하는 경우
모두 사용가능한 명령어이고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사용하면됩니다.
dnf를 사용한 데몬설치
실제로 dnf를 통해서 데몬을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udo dnf install -y httpd
#-y 옵션은 중간에 나오는 확인절차는 yes로 입력한다는 옵션
명령어를 통해서 간단하게 httpd데몬이 설치가 되었고
systemctl start httpd
systemctl status httpd
두 명령어를 통해서 httpd 데몬을 실행시키고 데몬의 상태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Active (running)으로 실행이 되고 있는 것을 확인 가능합니다.
yum을 이용한 설치도 하려 하기 때문에 명령어를 통해서 httpd를 삭제해 주도록 하겠습니다.
sudo dnf remove -y httpd
yum을 사용한 데몬설치
sudo yum install -y httpd
dnf와 비슷한 방식으로 httpd를 설치가능합니다.
이번에도 같은 방식으로 데몬을 삭제해 주었습니다
rpm을 사용한 데몬설치
rpm은 yum과 dnf와 다르게 데몬을 설치하고 삭제합니다.
먼저 간단한 apm파일을 구하기 위해 vmware를 종료시키고 가지고 있는
centos8 이미지파일을 cd롬에 이미지 삽입 해줍니다.
이후에
해당 디렉터리로 이동해 줍니다.
해당 디렉터리에는 다양한 rpm 파일이 존재하는데 이 중에서 저는
해당 데몬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rpm -Uvh mc-4.8.19-9.el8.x86_64.rpm
해당데몬이 설치되었고 확인 명령어는
rpm -qa mc
해당 데몬이 설치가 된 것을 확인 가능합니다.
그리고
mc
명령어를 치게 되면은
터미널환경에서 마우로 리눅스를 사용가능하게 해 줍니다.
rpm명령어는 설치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가능합니다.
#rpm 명령어 옵션
#-i 설치(install)
#-v 설치 진행 상황 출력
#-h 설치 진행 상황을 '#'로 표시
#-e 제거
#-U 업그레이드
#-F 이미 설치된 패키지만 업그레이드 설치하지 않으면 무시
#-q 패키지의 정보 확인
#-qa 패키지 목록 확인
#-qf 특정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속하는지 확인
#-qi 패키지의 상세 정보확인
#-ql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 목록 확인
#-qc 설정 파일을 확인
데몬 관련 명령어
마지막으로 데몬 관련 명령어를 정리하고 마무리하려고 합니다.
#데몬 시작
sudo systemctl start 데몬이름
#데몬 중지
sudo systemctl stop 데몬이름
#데몬 재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데몬이름
#데몬 상태확인
sudo systemctl status 데몬이름
#부팅시 데몬 시작
sudo systemctl enable 데몬이름
#부팅시 데몬 자동 시작 해제
sudo systemctl disable 데몬이름
리눅스에서 데몬은 시스템의 필수적인 서비스와 기능을 백그라운드에서 수행하는 중요한 프로그램 입다.
dnf, yum, rpm과 같은 패키지 관리 도구를 사용하면 쉽게 데몬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약작업 - cron과 at (0) | 2024.08.27 |
---|---|
tar- 압축, 풀기 (0) | 2024.08.17 |
umask와 특수권한 (0) | 2024.08.13 |
리눅스 허가권과 소유권: chmod, chown (0) | 2024.08.13 |
리눅스-그룹관리 (0) | 2024.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