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VMware에 Apche웹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1. 웹서버란?
웹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 소프트웨어입니다.
HTTP/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적 콘텐츠(HTML, CSS, JavaScript)와 동적 콘텐츠(PHP, Python 등)를 클라이언트에 전달합니다.
대표적인 웹서버 소프트웨어로는 Apache, Nginx 등이 있습니다.
그중에 저는 이번 포스팅에서 Apache를 통해서 웹서버를 구축하도록 하겠습니다.
1-1.Apache 웹서버
Apache 웹서버(Apache HTTP Server)는 오픈소스 기반의 가장 널리 사용되는 웹서버 중 하나입니다.
안정성과 확장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모듈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오픈소스: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 커뮤니티 지원이 활발함
- 모듈형 아키텍처: 다양한 기능을 플러그인(모듈) 형태로 추가 가능
- 다양한 운영체제 지원: Windows, Linux, macOS 등 대부분의 OS에서 실행 가능
- 강력한 보안 기능: SSL/TLS 지원, 접근 제어, 로깅 기능 제공
2. Apache웹서버 설치
웹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서 설치가 가능합니다.
yum install -y httpd
systemctl status httpd
위의 명령어를 통해서 httpd가 제대로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해 보고
start와 enable 명령어도 적용해서 항상 실행되도록 설정해 주겠습니다.
이제
실제 브라우저를 통해서 어떻게 표시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firefox http://127.0.0.1
명령어를 통해서 웹서버가 실행되고 HTTP 테스트페이지가 보이는 걸 확인가능합니다.
이 테스트 페이지는 사용자가 지정된 디렉터리에 페이지 파일을 새 성하지 않았을 때 기본으로 출력되는 페이지입니다.
이번에는 가장 기본적인 디렉터리를 수정하여서 테스트페이지를 수정해 보겠습니다.
vi /var/www/html/index.html
/var/html/ 디렉터리는 우베페이지 콘텐츠의 기본 디렉터리입니다.
해당 디렉터리에 index.html이라는 파일을 만들고 아래와 같이 작성하겠습니다.
파일을 작성하고 이전에 명령어를 통해서 다시 웹서버에 접속해 보면
만들었던 내용이 적용된 것을 확인가능합니다.
밑의 표에는 Apache거버 기능과 관련된 주요 디렉터리의 목록과 설명입니다.
위치 | 설명 |
/var/www | 웹페이지 콘텐츠의 기본 디렉토리 위치 |
/etc/httpd/conf | 웹서버의 주 설정 파일(httpd.conf)의 위치 |
/etc/httpd/conf.d | 엡서버 추가설정 파일의 위치 |
/etc/httpd/conf.modules.d | 웹서보와 함께 설치된 모듈 성정 관련 파일위치 |
/usr/share/httpd | 테스트 페이지, 에러 페이지 등 기본 콘텐츠의 위치 |
/usr/share/doc/httpd | 웹서버 관련 문서 파일 위치 |
3. 웹서버 외부에서 접속
만든 웹서버를 외부에서 접속가능하도록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먼저 방화벽을 열어줘야 웹서버를 외부에서 접속 가능합니다.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s
sudo firewall-cmd --reload
명령어를 통해서 https포트임 443과 http포트인 80번 포트를 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리눅스 랜카드의 ip주소를 알아내고 외부에서 접속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가 아닌 vmware밖의 컴퓨터에서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만약 접속이 안된다면 vmware 설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edit> Virtual Network Editor로 들어가서 NAT로 설정을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웹서버의 경우는 기존의 AWS에서 실습을 통해서 만들어보고 접속을 했었지만
VMware를 통해서 다시 한번 만들어보고 외부에서 접속해 보았습니다.
AWS의 경우 방화벽을 보안그룹을 통해서 설정했었지만 리눅스에서 집적 방화벽을 다루는 차이가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웹서버관련하여 포스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기본적인 웹서버 설치와 외부에서 접속하는 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 리눅스 서버 구축 _FTP 서버 (0) | 2025.04.11 |
---|---|
VMware 리눅스 서버구축_웹서버(Apache) 2 (1) | 2025.03.30 |
VMware-리눅스 DB서버(MariaDB) 4 (0) | 2025.03.17 |
VMware-리눅스 DB서버(MariaDB) 3 (0) | 2025.03.13 |
VMware-리눅스 DB서버(MariaDB) 2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