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FTP서버의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1. FTP서버란?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서, 컴퓨터 간에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1970년대부터 사용된 오래된 프로토콜이지만, 현재까지도 다양한 시스템에서 파일 전송을 위해 사용합니다.
주요 목적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을 업로드/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FTP서버는 F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파일을 저장하거나 제공하는 서버입니다.
서버를 구축할 경우
- 여러 사용자가 파일을 공유
- 중앙 저장소로 활용
- 백업 시스템, 웹사이트 파일 관리
보통 위 와 같은 경우로 사용되고, 운영체제마다 FTP 서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2. FTP특징
FTP는 운영체제가 그래픽환경을 지원하기 이전에 만들어진 파일전송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동작방식이 매우 직관적이라는 특징 있고, 그만큼 사용하기 쉽고 편리합니다.
대용량의 파일을 빠르게 전송가능하지만 암호화하여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보안 노출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TCP기반으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로 동작합니다.
FTP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포트는 20번, 21번 포트를 사용하고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 20번 포트 - 데이터 포트라 하며 데이터전송에 사용합니다.
- 21번 포트 - 제어 포트라 하며 클라이언트의 접속 및 제어에 사용합니다.
액티브모드와 패시브모드
동작방식으로 크게 2가지를 가지는데 위에 꺼진 것처럼 액티브모드와 패시브모드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항목 | 액티브 | 패시브 |
데이터 연결 주체 |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연결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연결 |
제어 포트 | 21번 | 21번 |
데이터 포트 | 서버: 20번, 클라이언트 지정포트 | 서버가 임의 포트 열고 알림 |
방화벽 호환성 | 낮음(클라이언트 방화벽 연결 차단 가능) | 높음(클라이언트에서만 연결 시도) |
클라이언트 NAT환경일 경우 | 문제 발생 가능 | 문제가 거의 없음 |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고 현제는 액티브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패시브를 주로 사용합니다.
3.vsFTP(Very Secure FTP)
vsFTP는 리눅스/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서버용 FTP 프로그램입니다. 이름처럼 보안에 매우 강한 FTP입니다.
특징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 높은 보안성
- 경량화: 가볍고 빠른 성능
- 안정성: 대규모 사용자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
- 패시브/액티브 모드 모두 지원
- chroot 설정 가능: 사용자별 디렉토리 제한으로 보안 강화
이번 실습과정에서 주로 설치하고 관리해 볼 프로그램이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설치하는 과정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3-1. vsFTP
yum install -y vsftpd
위와 명령어를 통해서 vsftp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위처럼 /etc/vsftpd라는 디렉토리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 가능합니다.
위 디렉토리에는 vsftp 서비스의 구성파일이 존재합니다.
이후 방화벽 규칙을 수정해야 합니다. 아래명령어를 통해서 방화벽 규칙을 수정해 주겠습니다.
firewall-cmd --add-service=ftp --permanent
firewall-cmd --reload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끝내고 이후 포스팅에서 실제로 ftp프로그램을 사용해 보고
실제로 관리운영해 보는 과정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 리눅스 서버 구축 _ FTP 서버 2 (0) | 2025.04.28 |
---|---|
VMware 리눅스 서버구축_웹서버(Apache) 2 (1) | 2025.03.30 |
VMware 리눅스 서버구축_웹서버(Apache) 1 (0) | 2025.03.26 |
VMware-리눅스 DB서버(MariaDB) 4 (0) | 2025.03.17 |
VMware-리눅스 DB서버(MariaDB) 3 (0) | 2025.03.13 |